::: > 학습자원 > 주요소장품
글자크기 :

주요소장품

도자기
청자철회모란문화구발
12세기, 한국
청자철회모란문화구발 
높이 6.5 cm, 직경 20.0 cm

  고려 도공들은 중국 남.북부의 여러 가마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산화철 성분이 함유된 유약을 이용해 붓으로 문양을 묘사했고, 이는 중국 북방의 자주요(磁州窯) 와 광동 서촌요(西村窯)의 작품과 매우 흡사한 모습이다. 자주 볼 수 있는 문양은 모란과 국화이며, 기면(器面) 위에 화엽이 가득하고, 화사함과 우아함의 멋을 풍긴다.

  철분 성분이 가미된 유약은 고온 아래에서 색이 검어지고 점성이 높아지는데, 자기의 표면에 검은 유약이 덮여있을 때는 비교적 두꺼운 유약층이 형성된다. 자기 표면이 어둡고 문양이 없으며 검은 유약으로만 장식된 작품 뿐 아니라, 검은 유약에 흰색 퇴화(堆花) 혹은 상감으로 장식된 작품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소박하면서도 진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산화철 성분이 가미된 염료로 단순한 문양을 표현한 청화자기를 「철회청자(鐵繪青瓷)」라고 하며, 고온에서 구운 후의 문양은 흑갈색을 띤다. 철회청자는 10세기 말의 고려 초기 가마터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으나, 12세기가 되어서야 대량 생산을 하기 시작했다. 주요 산지는 한국 전라남도 해남군 진산리 일대에 모여있으나, 전라남도 강진군의 사당리와 용운리 등의 가마터에서도 품질이 좋은 철회청자가 출토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금까지도 철회청자 제작 가마의 전모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13세기가 되자, 철회청자 역시 상감, 퇴화, 진사채(辰砂彩)와 같은 다양한 장식 기법을 시도해보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흑갈색 뿐이었던 색상에 붉은색과 흰색을 더할 수 있었고, 이로서 더 밝은 분위기를 표현해낼 수 있었다.

  위의 발은 주둥이의 가장자리가 각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벌어져있는 입, 깊은 복부, 둥근 형태의 벽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둥근 테두리 받침은 살짝 높고 바깥으로 삐쳐있다. 주둥이의 가장자리는 여덟 개의 꽃잎 모양을 하고 있고, 각 꽃잎의 끝부분은 살짝 솟아 올라와있으며, 안팎의 벽에는 산화철 염료로 모란을 묘사했다. 바깥쪽 벽에는 전지모란(纏枝牡丹)이 장식되어 있고, 안쪽 벽에는 절지화훼(折枝花卉)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단순한 꽃 문양으로 꾸며져있다. 다리와 바닥 부분에는 모두 유약을 바르지 않았기에 황갈색의 태토(胎土)가 드러나있다. 유색은 다소 노르스름하며, 유면(釉面)에는 잡질이 많은 편이며, 철반(鐵斑)이 보이기도 한다. 또한 자기의 몸통에는 미세한 관입(貫入)이 있다. 산화철이 가미된 염료를 이용해 묘사한 장식법은 12세기 고려청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위 작품처럼 꽃 모양의 주둥이 가장자리가 각을 이루고 있는 형태는 매우 희귀하다.

 

   인기지수:1 
태그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