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즐긴다는 것은 생활, 패션, 예술이자 문화이며, 차를 마시는 이들의 공통 언어이다.
차의 고향은 중국이며, 고대부터 지금까지 계속 발전되어왔다. 해갈 및 약용으로 쓰이기 시작하던 차는 당.송대의 자다법과 점다법의 다도법을 거쳐 명.청대의 포다법으로 그 모습을 달리했고, 차잎의 제조방법의 변화로 인해 다기의 사용법과 차를 마시는 방법도 변해왔다. 중국의 차 문화는 사신과 무역을 통해 널리 퍼져나갔고, 이는 몽골과 티벳인들의 생활 속으로 자리잡아갔다. 차잎의 수요는 날로 증가했고, 이에 차마고도가 생겨나며 유목민족이 차를 마시는 방식과 도구도 함께 발전해갔다.
당.송대에는 일본에서 파견한 사신과 유학 온 승려, 상인들의 왕래로 인해 중국의 차 문화가 일본으로 전해졌으나, 일본 현지의 정신적 문화와 행차(行茶) 예절이 융합된 그들만의 엄격한 일식 다도로 발전했다. 명대 말기에는 복건(福建) 지역의 승려들이 소개한 민(閩)의 끽다법과 이싱(宜興)의 다기가 일본 문인들이 즐기던 담백한 끽다법과 어우러져 전다도(煎茶道)가 탄생했다.
명대 말, 청대 초에는 중국 동남부 해안에 거주하던 많은 이들이 이민을 떠나며 차를 마시는 문화 역시 동남아와 대만으로 퍼져나갔다. 대만은 복건과 광동 지역의 공부차(工夫茶)의 다도법을 이어왔을 뿐 아니라, 차를 즐기는 분위기 역시 예술적인 영역으로 발전시켜왔다. 《제라현지(諸羅縣志)》에는 대만 중남부에 야생 차나무가 있다고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대만이 차 나무 재배에 적절함을 의미한다. 차 상인들이 민남 지역에서 들여온 차와 제조법을 지속적으로 개량해온 결과, 1980년대에는 고산차(高山茶)의 발전까지 일궈냈다. 고산차는 주로 대만 중.남부에서 재배된다.
전시는 위에서 서술한 내용의 맥락 순으로 이어진다. 「차의 고향—중화 차 문화」,「다도—일본 차 문화」,「차의 멋—대만 공부차(工夫茶)」의 3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 박물원의 차 문화 관련 소장 문물을 통해, 각 지역만의 독특한 끽다법과 차 문화를 담아냈다. 명대 다실과 일본 다실 및 현대 다석(茶席)등의 공간 전시를 통해 각 시대와 공간만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차 마시는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람객들은 아시아에서의 차의 전파와 교류, 그리고 각 지역의 독특함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는 차문화에 대해서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